잡학상식
발행어음과 국채 비교!
Bombus
2025. 3. 7. 22:07
1. 발행어음의 안정성 분석
📌 개념:
- 증권사(대표적으로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등)가 발행하는 단기 금융 상품
- 보통 1년 이내 만기
-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음 (금융사 자체 신용으로 운영됨)
📌 안정성 요소:
✅ 원금 손실 위험 낮음:
- 대형 금융사가 발행하므로 신용도가 높음
- 다만, 발행 기관(증권사)이 부도나면 위험
✅ 금리 변동 위험 낮음:
- 단기 상품(보통 3~12개월)이기 때문에 금리 변화 영향을 적게 받음
❌ 예금자 보호 안 됨:
- 은행 예금과 달리 예금자 보호(5천만 원 한도) 적용 X
- 증권사가 부도나면 투자금 전액 손실 가능성 있음
2. 국채의 안정성 분석
📌 개념:
-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 (ex. 한국 국채, 미국 국채)
- 만기가 길수록 금리 변동 위험이 커짐 (보통 3년, 5년, 10년 등)
📌 안정성 요소:
✅ 국가가 보증 → 디폴트 가능성 거의 없음:
- 한국 정부가 부도날 가능성은 극히 희박
- 경제 위기 때도 국채는 비교적 안전한 자산
✅ 예금자 보호와 무관하게 안전:
- 정부 보증이라서 증권사나 은행이 망해도 원금 보장됨
❌ 금리 변동 위험 있음:
- 장기 국채일수록 금리 변화에 따른 가격 변동 위험 존재
- 금리가 오르면 기존 국채 가격은 떨어짐 (채권 가격 역상관 관계)
3. 안정성 비교 (발행어음 vs 국채)
비교 항목발행어음국채
발행 주체 | 증권사 (민간 금융기관) | 정부 (국가 보증) |
원금 보장 여부 | ❌ 예금자 보호 X (증권사 부도 시 위험) | ✅ 국가가 보증 (부도 위험 거의 없음) |
금리 변동 위험 | ⭕ 거의 없음 (단기 상품) | ❌ 있음 (장기일수록 커짐) |
유동성 | ⭕ 높음 (1년 이내 만기) | ⭕ 국채 ETF로 거래 가능 |
수익률 기대치 | ✅ 국채보다 보통 높음 (약 3~4%) | ❌ 낮음 (국채 10년물 금리 3% 내외) |
결론
✅ 안정성 측면에서 국채가 더 안전하다.
- 정부가 보증하므로 부도 위험이 사실상 0
- 하지만 장기 국채는 금리 변동에 따라 가격 변동 위험 존재
✅ 발행어음은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증권사 신용 위험이 있다.
- 단기 투자(1년 이하) 목적이라면 괜찮음
- 하지만 증권사가 부도나면 원금 손실 가능성 있음
💡 즉, “완벽한 안전”을 원하면 국채, “조금 더 높은 금리를 원하면 발행어음”이 유리하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