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다반사
시놀로지 나스 SVN 서버 설정
Bombus
2023. 3. 24. 10:37
버전 관리 시스템의 종류의 다양성도 다양성이지만, 무료 저장소도 소규모 혹은 개인에 대한 제한이 많이 완화되어 나스로 세팅하는 것이 큰 매리트는 없을 수 있다.
다만 무료 저장소 느린 속도, 서비스 종료/유료화에 대한 우려가 있었거나 이미 나스가 있는 상태라면 간단하게 구축해서 가지고 노는데엔 괜찮은 선택지가 되겠다.
사실 나스 세팅만 하고 나면 그 이후엔 GUI 환경이 잘 갖춰져있어서 직관적으로 설정할 수 있을 정도다.
| 1. 패키지 센터에서 SVN 설치

- 패키지 센터에서 SVN을 찾아 설치한다.

| 2. 리포지터리 생성

- SVN Server 실행 > 좌상단 [추가] 버튼 클릭
- 리포지터리 이름, 사용자 추가 등 설정 > [확인] 버튼 클릭
| 3. SVN 클라이언트로 체크아웃

추가된 저장소를 클릭해보면 액세스 URL이 나오는데, 해당 내용과 함께 폴더 지정을 하고 체크아웃을 받으면 된다.
| 마치며
최근 버전 관리 시스템이 다양해지고, 무료 저장소의 소규모 혹은 개인에 대한 요금이나 인원 제한이 많이 완화되었다.
때문에 나스로 SVN 서버를 세팅하는 것이 큰 매리트는 없을 수 있다.
이미 구축된 나스가 있는 상태라면 간단하게 설정해서 가지고 노는데엔 괜찮은 선택지가 되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