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를 나갈 때(전출)는 전기/가스/수도 요금을 정산해야하고,

이사를 들어올 때(전입)을 할 때는 명의변경을 신청 해야한다.

정산 및 명의 변경, 자동이체 신청 등은 각 고객센터에 전화를 하거나, 웹 혹은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신청할 수 있다.

 

 

| 수도

  • 지역별 수도아섭소 고객센터 전화

서울시 구별 수도사업소

수도사업소
관할
연락처
동부사업소
광진구, 동대문구, 성동구, 중랑구
02-3146-2600
서부사업소
마포구, 서대문구, 은평구
02-3146-3500
남부사업소
관악구, 금천구, 동작구, 영등포구
02-3146-4400
북부사업소
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02-3146-3200
강동사업소
강동구, 송파구
02-3146-5000
강서사업소
강서구, 구로구, 양천구
02-3146-3800
강남사업소
강남구, 서초구
02-3146-4700

 

어플리케이션

 

 

서울시 세금납부 - 서울시 STAX - Google Play 앱

STAX는 "모바일용 서울시 ETAX"입니다. 서울시민의 편리한 세금납부를 위한 생활솔루션 STAX

play.google.com

 


| 가스

  • 지역별(구/동) 도시가스회사 고객센터 전화

 

서울시 구역별 도시가스 회사

 

강남구

코원에너지서비스 (강남서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3495

신사동,압구정동,청담동,논현동일부(1~119)

 

코원에너지서비스 (강남중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3496

역삼1동,논현동일부(120~278),삼성2동일부(111~144)

 

코원에너지서비스 (강남동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3497

대치1동,대치2동,대치4동,삼성1동(50~110,145~171),삼성2동일부(1~51)

 

코원에너지서비스 (강남남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3498

개포2동,세곡동,수서동,일원본동,1,2동

 

코원에너지서비스 (강남남서)

전화번호: 1599-3366, 1800-3419

역삼2동,도곡동,개포1,4동

 

강북구

대륜E&S (강북1)

전화번호: 1566-6116, 02-908-2341

쌍문1~4동/수유2동, 수유4동(우이동)

 

대륜E&S (강북3)

전화번호: 1566-6116, 02-984-1390

수유1동,수유5,6동(인수동), 수유3동 일부(노해로 서측)/미아2동(삼양동),미아3동(미아동)

 

대륜E&S (강북4)

전화번호: 1566-6116, 02-989-9944

미아8동(송천동)/미아9동(송중동)/번1,2동, 번3동 일부(오현로20길~한천로109길 기준 북측), 수유3동 일부 (노해로 동측)

 

관악구

서울도시가스 (남부1)

전화번호: 1588-5788, 02-825-5761

신림동(舊 신림5동)

 

서울도시가스 (남부2)

전화번호: 1588-5788, 02-876-0903

은천동, 보라매동, 성현동, 청림동, 청룡동, 행운동, 낙성대동, 중앙동, 서원동(舊 신림본동), 舊 봉천본동, 봉천1~10동

 

서울도시가스 (남부3)

전화번호: 1588-5788, 02-852-2401

신원동, 서림동, 난곡동, 신사동, 신림동, 삼성동, 난향동, 조원동, 대학동, 미성동, 신림1,2,3,4,6,7,8,9,10,11,12,13동

 

서울도시가스 (남부4)

전화번호: 1588-5788, 02-587-9140 인헌동(舊 봉천11동), 남현동

 

구로구

귀뚜라미에너지 (제3고객센터)

전화번호: 1670-4700

구로본동, 구로1동, 구로5동, 구로6동, 신도림동

 

귀뚜라미에너지 (제5고객센터)

전화번호: 1670-4700

고척1동, 구로1동, 신도림동, 개봉본동, 신정7동, 구로본동 일부(588, 600~636, 1262)

 

귀뚜라미에너지 (제6고객센터)

전화번호: 1670-4700

고척1동 일부 (6, 52, 60~173, 302~305, 321, 324, 334, 336), 고척2동, 개봉1동, 개봉본동 일부(126~157, 416, 448~465), 오류1동, 신정3동

 

귀뚜라미에너지 (제8고객센터)

전화번호: 1670-4700

개봉본동 일부(22~90, 161~182, 353, 222, 415, 417, 475~476), 개봉2동, 개봉3동, 오류2동, 천왕동, 항동, 온수동, 궁동

 

노원구

대륜E&S (노원1)

전화번호: 1566-6116, 02-931-5200

상계2,3,4,5,7동/중계4동

 

대륜E&S (노원2)

전화번호: 1566-6116, 02-933-2496

상계1,8~10동/장암동 일부(상계장암지구1,2단지)

 

대륜E&S (노원3)

전화번호: 1566-6116, 02-951-6002

상계6동/중계본동/중계1,2,3동/하계1동

 

대륜E&S (노원5)

전화번호: 1566-6116, 02-948-4700

하계2동/공릉1,2,3동

 

대륜E&S (노원6)

전화번호: 1566-6116, 02-900-3165

월계1,2,3,4동/창3동

 

동대문구 예스코 (장안)

전화번호: 1544-3131

답십리1~2동, 장안1~2동

 

예스코 (제기)

전화번호: 1544-3131

신설동, 용두동, 전농1동, 제기동, 청량리동 일부

 

예스코 (휘경)

전화번호: 1544-3131

이문1동 일부, 전농2동, 청량리동 일부, 휘경1~2동, 회기동

 

마포구

서울도시가스 (강북1)

전화번호: 1588-5788, 02-712-3834

공덕동 , 도화동 , 마포동, 신공덕동, 아현동 ,용강동, 토정동

 

서울도시가스 (강북2)

전화번호: 1588-5788, 02-701-0337

구수동, 노고산동, 당인동, 대흥동, 상수동, 신수동, 신정동, 염리동, 창전동, 하중동, 합정동, 현석동

 

서울도시가스 (강북3)

전화번호: 1588-5788, 02-338-6361

동교동, 망원동, 상암동, 서교동, 성산동, 중동, 연남동

 

예스코 (서부)

전화번호: 1544-3131

아현1동

 

서초구

서울도시가스 (남부4)

전화번호: 1588-5788, 02-587-9140

서초3동, 방배본동, 방배1~4동, 반포본동(구반포), 반포2~4동, 잠원동일부

 

코원에너지서비스 (서초북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3571

잠원동,반포동,서초4동

 

코원에너지서비스 (서초남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3572

내곡동,(신원동,염곡동,원지동), 양재1동(우면동제외),양재2동,서초1~3동

 

코원에너지서비스 (과천1)

전화번호: 1599-3366, 1800-4612

양재1동(우면동)

 

성북구

대륜E&S (성북1)

전화번호: 1566-6116, 02-942-2701,2

번3동 일부(오현로20길~한천로 109길 기준 남측), 석관1동~2동, 장위2동~3동, 이문동(209-13,19,20,21)

 

대륜E&S (성북2)

전화번호: 1566-6116, 02-942-1667

미아4동(송중동), 장위1동, 하월곡1동~4동, 상월곡동

 

대륜E&S (성북3)

전화번호: 1566-6116, 02-985-8100

미아1동(삼양동),미아5동(송천동), 미아6,7동(삼각산동), 길음1동~3동, 길음동 삼성래미안8,9단지(801~824동, 901~906동, 951~953동)

 

예스코 (삼선)

전화번호: 1544-3131

돈암1동, 동소문동2,3,5가, 동선동2~3가, 보문동1~7가, 삼선동3~5가, 안암동1~5가, 종암동

 

예스코 (휘경)

전화번호: 1544-3131

석관동 일부

 

예스코 (종로)

전화번호: 1544-3131

삼선동1~2가

 

예스코 (정릉)

전화번호: 1544-3131

길음동 일부, 동소문동1,4,6,7가동, 동선동1,4,5가, 돈암2동, 성북동1가, 성북동, 정릉1~4동

 

양천구

서울도시가스 (서부1)

전화번호: 1588-5788, 02-2658-0040

신월1,3,5동

 

서울도시가스 (서부3)

전화번호: 1588-5788, 02-2648-9802 목1동~목4동, 목5동(舊 목5, 6동), 신정2동

 

서울도시가스 (서부5)

전화번호: 1588-5788, 02-845-8523

신정1, 6, 7동

 

귀뚜라미에너지 (제11고객센터)

전화번호: 1670-4700

고척1동 일부(43, 46~51, 53, 57, 325, 326, 338), 신정1동, 신정4동, 신정5동, 신정7동, 신월2동, 신월4동, 신월6동, 신월7동

 

용산구

서울도시가스 (강북1)

전화번호: 1588-5788, 02-712-3834

한강로1,2,3가, 이촌1,2동, 용산3,5,6가, 서빙고동, 원효1~4가, 용문, 신창, 도원, 신계, 청암, 산천, 효창, 청파, 서계, 문배

 

예스코 (용산)

전화번호: 1544-3131

갈월동, 남영동, 동빙고동, 동자동, 보광동, 서빙고동, 용산동1~2가, 이태원1~2동, 주성동, 한남동 일부, 한강로1가, 후암동

 

종로구

서울도시가스 (강북5)

전화번호: 1588-5788, 02-394-6230

구기동, 부암동, 신영동, 평창동, 홍지동

 

예스코 (종로)

전화번호: 1544-3131

견지동, 경운동, 공평동, 관수동, 관철동, 관훈동, 권농동, 낙원동, 돈의동, 동숭동, 명륜1~4가동, 묘동, 봉익동, 서린동, 수송동, 숭인1~2동, 연건동, 연지동, 예지동, 와룡동, 운니동,원남동, 이화동, 익선동, 인사동, 인의동, 장사동, 종로1~6가동, 중학동, 창신1~3동, 청진동, 충신동, 혜화동, 효제동, 훈정

 

예스코 (서부)

전화번호: 1544-3131

가회동,계동,교남동,교북동,궁정동,내수동,내자동,누상동,누하동,당주동,도렴동,무악동,사간동,사직동,삼청동,세종로,소격동,송월동,송현동,신교동,신문로1~2가,안국동,옥인동,원서동,재동,적선동,창성동,청운동,체부동,통의동,통인동,팔판동,평동,필운동,행촌동,홍파동,화동,효자동

 

중랑구

예스코 (면목)

전화번호: 1544-3131

망우본동 일부, 망우3동, 면목3·8동, 면목4동, 면목7동

 

예스코 (중화)

전화번호: 1544-3131

묵1~2동, 중화2동 일부

 

예스코 (신내)

전화번호: 1544-3131

망우본동 일부, 상봉1동, 신내1~2동, 중화1동

 

예스코 (상봉)

전화번호: 1544-3131

면목본동, 면목2동, 면목5동, 상봉2동, 중화2동 일부

 

강동구

코원에너지서비스 (강동북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4526

상일동, 강일동, 고덕1,2동, 명일2동

 

코원에너지서비스 (강동서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4527

천호1,3동,암사동,명일1동

 

코원에너지서비스 (강동동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4528

성내1,2,3동, 둔촌1동

 

강서구

서울도시가스 (서부1)

전화번호: 1588-5788, 02-2658-0040

방화1,2,3동, 공항동, 개화동, 내발산1동, 외발산동, 과해동, 오쇠동, 등촌3동, 가양1,2동, 마곡동

 

서울도시가스 (서부2)

전화번호: 1588-5788, 02-2691-7744

화곡1~4동, 화곡6~8동, 화곡본동, 우장산동(화곡5동, 내발산2동)

 

서울도시가스 (서부3)

전화번호: 1588-5788, 02-2648-9802

등촌1동, 등촌2동, 가양3동, 염창동

 

광진구

예스코 (자양)

전화번호: 1544-3131

능동, 자양1동 일부, 자양3동, 자양4동, 화양동

 

예스코 (구의)

전화번호: 1544-3131

광장동, 구의1동, 구의3동, 자양1동 일부, 자양2동

 

예스코 (중곡)

전화번호: 1544-3131

구의2동, 중곡1~4동

 

예스코 (성수)

전화번호: 1544-3131

군자동

 

금천구

귀뚜라미에너지 (제1고객센터)

전화번호: 1670-4700

구로3동, 독산1동 일부(143~152, 288~303, 330~333, 1136번지), 독산2동 일부(1074~1077번지 제외), 독산3동, 독산4동

 

귀뚜라미에너지 (제2고객센터)

전화번호: 1670-4700

독산1동 일부(1088~1125번지), 독산2동 일부(1074~1077번지), 시흥1동, 시흥2동, 시흥3동, 시흥4동, 시흥5동

 

귀뚜라미에너지 (제10고객센터)

전화번호: 1670-4700

구로2동, 구로4동, 가리봉1동, 가리봉2동, 가산동, 독산1동 일부(168, 334~711, 998~1011, 1131, 1140번지)

 

도봉구

대륜E&S (도봉1)

전화번호: 1566-6116, 02-955-5004

도봉1,2동/방학1,2,3,4동

 

대륜E&S (도봉5)

전화번호: 1566-6116, 02-900-9440

창1,2,4,5동

 

동작구

서울도시가스 (남부1)

전화번호: 1588-5788, 02-825-5761

신대방1,2동, 대방동, 노량진2동, 상도동 전체, 노량진1동(舊 본동, 노량진1동), 흑석동

 

서울도시가스 (남부4)

전화번호: 1588-5788, 02-587-9140

동작동, 사당동, 사당1~5동

 

서대문구

서울도시가스 (강북2)

전화번호: 1588-5788, 02-701-0337

대신동, 대현동, 봉원동, 신촌동, 창천동, 연희동, 북아현동(舊 북아현, 1, 2동), 충현동(舊 북아현3동)

 

서울도시가스 (강북3)

전화번호: 1588-5788, 02-338-6361

남가좌동, 홍은2동 일부(舊 홍은3동)

 

서울도시가스 (강북4)

전화번호: 1588-5788, 02-386-4371

북가좌동 전체

 

서울도시가스 (강북5)

전화번호: 1588-5788, 02-394-6230

홍은 1,2동, 홍제동 전체

 

성동구

예스코 (금호)

전화번호: 1544-3131

금호동1~4가동, 옥수동, 응봉동, 행당2동 일부

 

예스코 (행당)

전화번호: 1544-3131

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하왕십리1~2동, 용답동, 행당1동, 행당2동 일부, 홍익동

 

예스코 (제기)

전화번호: 1544-3131

상왕십리동, 하왕십리동

 

예스코 (성수)

전화번호: 1544-3131

성수1가1~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송정동

 

송파구

코원에너지서비스 (송파서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4394

잠실본동,잠실2,7동,잠실3동일부(35, 35-1, 35-6),삼전동

 

코원에너지서비스 (송파중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4395

석촌동,가락1동,문정2동,잠실3동(35.35-1,35-6제외),잠실6동

 

코원에너지서비스 (송파북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4396

송파동,방이동,가락본동

 

코원에너지서비스 (송파동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4397

오금동,마천동,거여동

 

코원에너지서비스 (송파남부)

전화번호: 1599-3366, 1800-4399

가락2동,문정1동,장지동

 

코원에너지서비스 (송파북동)

전화번호: 1599-3366, 1800-4381

풍납동,잠실4동,오륜동,천호2동

 

영등포구

서울도시가스 (서부4)

전화번호: 1588-5788, 02-2633-5606

영등포1~3동(1~8가), 도림동(도림1, 2동), 영등포본동(舊 영동포본동, 신길2동), 여의도동, 당산1,2동(1~6가), 문래1,2동(1~6가), 양화동, 양평 1동(1~3가), 양평2동(4~6)

 

서울도시가스 (서부5)

전화번호: 1588-5788, 02-845-8523

신길1동, 신길 3~7동, 대림 1~3동

 

은평구

서울도시가스 (강북4)

전화번호: 1588-5788, 02-386-4371

갈현동,갈현2동,구산동,대조동, 수색동,증산동, 신사동,역촌동, 응암1~2동, 응암3동(舊 응암3, 4동)

 

서울도시가스 (강북5)

전화번호: 1588-5788, 02-394-6230

갈현 1동, 구파발동, 녹번동, 진관내동, 진관외동, 불광동 전체

 

중구

예스코 (중부)

전화번호: 1544-3131

광희동(광희동1,2가), 남학동, 무학동, 묵정동, 방산동, 산림동, 신당1~6동, 쌍림동, 예관동, 예장동, 오장동, 을지로3~7가동, 인현동1~2가, 입정동, 장충동(장충동1,2가), 저동2가, 주교동, 주자동, 초동, 충무로3~5가동, 필동(필동1,2,3가), 황학동, 흥인동

 

예스코 (서부)

전화번호: 1544-3131

남대문로1~5가,남산동1~3가,남창동,다동,만리동1~2가,명동1~2가,무교동,봉래동1~2가,북창동,삼각동,서소문동,소공동,수표동,수하동,순화동,을지로1가을지로2가,의주로1~2가,장교동,저동1가,정동,중림동,충무로1~2가,충정로1가,태평로1~2가,회현동1~3가

 

어플리케이션

 

 

가스앱 - 가스비 절약의 시작 - Google Play 앱

편리한 요금 조회, 요금 납부 및 자동이체 관리, 비대면 방문 서비스 예약까지. 모든 도시가스 업무를 가스앱으로 시작하세요.

play.google.com

 

 

 

반응형

 

슬슬 날이 풀리고, 두꺼웠던 외투를 벗어둘 이 시기에 나들이 가기 좋은 곳을 소개하려한다. 우선은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1. 땅코참숯구이

0507-1311-6908

매일 14:00 - 22:50 (라스트오더 21:50)

 

식사 장소는 무려 서울 고기 맛집 3대 목살이라는 '땅코참숯구이'다.

뚜벅이 코스의 우리는 왕십리역 10번 출구룰 나와 큰길을 따라 쭉 내려가다 삼성플라자가 나오면 골목으로 조금 들어가다보면 가게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 땅코참숯구이 본점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로17길 26 1층 땅코참숯구이

만약 차량으로 방문한다면 인근 민영주차장 혹은 엔터식스을 이용하면 좋을듯 하다.

200g에 18,000원

다소 비싼 가격이지만, 후회없는 선택이 될것이다.

 

2. 응봉산 팔각정

 

배를 두둑히 채운 다음 우리가 가야할 목적지는 서울 야경 맛집 응봉산 팔각정이다.

 

 

땅코참숯구이에선 다소 먼거리이지만, 뚜벅이 코스인 오늘 소화도 시킬 겸 식후 운동 코스다.

응봉산 인근은 다소 오래된 아파트들이 줄지어 있는데 서울의 정취를 볼 수 있는 곳이다.

 

 
대림 종합상가

팔각정까지는 말그대로 '등산로'이기 때문에 여유를 두고 페이스를 천천히 하면서 오르는 게 좋다.

가파르긴 해도 등산로 입구부터 팔각정까지 짧기 때문에 힘든 코스는 아니다.

 
 
시기를 맞춰 간다면 개나리와 벚꽃 구경을 할 수 있다.

 

 
저 멀리 보이는 남산타워
강변북로는 오늘도 붐빈다.
 

선선한 바람을 맞으며 있노라면

서울에서 이정도로 여유를 느낄 수 있는 곳이 있을까 싶은 생각이 절로 드는 묘한 곳이다.

 

나지막한 산이지만 탁 트여있는 곳인만큼 주변 풍경을 감상하기 좋은 곳이다.

 

야경으로 유명한 곳이지만 해가 뉘엇뉘엇 할 때 가는 것도 추천한다. 

해가 지면서 서서히 물들어가는 하늘과 하나둘 늘어가는 퇴근길 차량들의 헤드라이트 물결을 감상하기에 일품이다.

 

 
반응형

 

 

바야흐로 벚꽃이 피는 계절이 돌아온 지금 석촌호수만한 곳이 있을까 싶다.

사실 사시사철 계절의 변화를 느끼기에도 좋아 언제 방문해도 참 좋은 곳이다.

 

 

 

 
서호에선 볼 수 있는 롯데월드

나들이객도 많지만 롯데월드를 날이 좋아 방문한 사람도 많은데

 

놀이기구를 탄 이용객들이 지르는 소리를 듣을 수 있는 게 다른 벚꽃 명소와는 다른 점이다.

 

운이 좋다면 석촌호수에 입주민인 오리가족들을 볼 수 도 있다.

 

 

 

 

| 찾아가는 길

 

대중교통: 지하철 잠실역 2호선, 8호선, 석촌역 8호선

 

| 벚꽃축제 정보

2023. 4.5 ~ 4.9 (6일간)

 

반응형

 


 

2015년 개봉한 대만의 하이틴 영화로 복고 열풍 흐름 중 하나로 내용자체는 클리셰를 따르는 전형에 가까운 영화지만 과거 학창 시절을 떠올리는 소재들, 소위 항마력?만 조금 지니고 있다면 편한 마음으로 보기 좋은 영화이다.

 

필자는 이 영화를 관통하는 대사를 참 좋아하는데, 영화를 관람했던 시기에 중국어를 공부하고 있던 터라 최근에도 회의시간이 지루하다고 느껴질 때면 그 대사를 끄적이곤 한다.


我常常幻想 长大后的我会是怎么样

​난 항상 어른이 된 이후의 모습을 상상하곤 했다.

 

从理想的学校毕业 发挥才华 实现梦想

​좋은 대학을 졸업하고, 꿈을 이루고

 

然后遇到一份完美的爱情

​그리고 이상형을 만나 사랑하고

 

我的人生会像钻石一样 闪闪发亮

내 인생은 다이아처럼 반짝반짝 빛날 거야

从来没有告诉我

​누구도 나에게 말해준 적 없다.

 

原来长大以后

원래 어른이 되면

你可能只会一分 不怎么样的工作

변변찮은 일을 하고,

谈一场 不怎么样的感情

별 볼일 없는 연애를 하고,

将就着过一段 不怎么样的生活

아쉬운 대로 그저 그런 생활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이 영화를 평작에서 조금이나마 멱살을 끌고 올리는 대사가 아닐 수 없다.

 

 

나의 소녀시대

돌아가고 싶은 리즈시절(?) 숨기고 싶은 흑역사(!)1994년 대책 없이 용감했던 고딩시절,유덕화 마누라가...

movie.naver.com

 

반응형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유가 시대, 아이오닉 5 체험기  (0) 2023.04.19
Flexall, 진통/소염제  (1) 2023.04.19

앱센터란 어플리케이션 빌드, 테스트 및 배포 솔루션으로 분석 및 진단 서비스도 제공되어 상태나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앱센터는 전신격이라고 할 수 있는 하키앱이란 서비스를 기능을 확장/개편하면서 Visual Stuido App Center라는 새 간판을 달았다.

2014년 하키앱이 MS에 인수되고, 2019년 11월 앱센터로 전환되었다.
 

홈페이지 개요를 보면 빌드에서 배포, 테스트까지 할 수 있는 거 같은데

필자는 젠킨스와 애증의 관계로 빌드는 젠킨스, 빌드 배포는 앱센터로 하기로 한다.

 

| 회원가입

 
 

App Center

 

appcenter.ms

우선 위 홈페이지로 가서 회원가입을 해준다.

 

| 조직 설정

빈 화면이 우리를 반겨주니 어서 앱 혹은 조직을 추가해보자.

우측 상단 Add new 버튼을 클릭하여 [앱] 혹은 [조직]을 추가하자.

 

※별도의 조직 없이 앱을 추가할 수 도 있다.

(조직과 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따로 다뤄보도록 한다.)

 

| 앱 설정

  • 앱명과 아이콘, Release 타입, OS 그리고 플랫폼을 입력
  • Add new app 버튼 클릭
제안된 릴리즈 타입, 원하는 것이 없다면 Custom을 이용

앱 설정까지 끝냈다면 기반은 완성이다.

이제 빌드 결과물 업로드, 배포 그룹 설정, 릴리즈 버전 관리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 API 설정방법

이제 생성된 [조직] 혹은 [앱]에 젠킨스를 통해서 업로드하는 설정을 해볼 것이다.

우선 선행되어야하는 것이 API 토큰을 생성하는 것이다.

 

  1. API 토큰 생성
 
  • 생성된 앱 > Settings > App API tokens > New API tokens 버튼 클릭
토큰은 다시 확인할 수 없으니 반드시 백업이 필요하다.

대충 토큰 명을 입력하고, 권한을 설정하고 토큰을 Add new API token버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팝업이 뜬다.

 

 

| 젠킨스 설정

1. App Center 플러그인 설치

Manage Jenkins Manage Plugins > Available plugins > App center 입력 > 플러그인 설치

 

2. 잡 설정

  • Post-build Actions에 Upload app to AppCenter 추가
 
  • 추가된 빌드 액션에 아래 값들을 설정 (필수 입력 값: API Token, Owner Name, App Name, Path To App, Distribution Groups, 나머지는 선택적 입력 값)
 
 
 
변수명
비고
API Token
위에서 발급한 API Token
40자리
Owner Name
유저명
생성한 앱의 URL 참조
App Name
앱명
생성한 앱의 URL 참조
Path To App
빌드파일의 상대 경로
 
Distribution Groups
배포 그룹
그룹명 혹은 멤버명
(콤마(,)로 추가) ex) Collaborators, QA
Mandatory Update
강제업데이트 여부
 
Notify Testers
알림 여부
 
Build Version
빌드 버전
 
Path To Debug Symbols
디버그용 심볼 경로
 
Branch Name
깃 브랜치명
origin/master or $GIT_BRANCH
Commit Hash
깃 커밋 해쉬값
$GIT_COMMIT
Release Notes
릴리즈 노트
5000자 제한
Release Notes From A File
릴리즈 노트 파일 경로
path/${NOTES}.md

 

3. URL 설정

Owner Name, App Name은 각각 생성한 앱 URL을 참조하여 입력한다.

조직내 앱을 추가한 경우)

https://appcenter.ms/orgs/${OwnerName}/apps/${AppName}

 

#조직 없이 앱을 생성한 경우)

https://appcenter.ms/users/${OwnerName}/apps/${AppName}

 

반응형

Addressables 빌드 프로세스 중 빌드 퍼포먼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json파일을 생성하고 있어, 각 프로세스 별 소요 시간이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방법

1) 크롬을 열고 chrome://tracing 입력

2) 좌상단의 Load 버튼을 클릭하고, 유니티 프로젝트 하위의 Library/com.unity.addressables/AddressablesBuildTEP.json 파일 선택

 

| 참고

 
 

Build Profiling | Addressables | 1.19.19

Build Profiling The Addressables build process always creates a .json log file that contains build performance information. You can find the log file in your project folder at Library/com.unity.addressables/AddressablesBuildTEP.json. View the log file with

docs.unity3d.com

 

Unity Scriptable Build Pipeline | Scriptable Build Pipeline | 1.21.3

Unity Scriptable Build Pipeline The Scriptable Build Pipeline (SBP) package allows you to control how Unity builds content. The package moves the previously C++-only build pipeline code to a public C# package with a pre-defined build flow for building Asse

docs.unity3d.com

 

반응형

 

| Default Profile

 

구분
경로
비고
BuildTarget
[UnityEditor.EditorUserBuildSettings.activeBuildTarget]
e.g. Android, Windows
LocalBuildPath
UnityEngine.AddressableAssets.Addressables.BuildPath/{BuildTarget}

LocalLoadPath
UnityEngine.AddressableAssets.Addressables.RuntimePath/{BuildTarget}

RemoteBuildPath
ServerData/{BuildTarget}

RemoteLoadPath
http://loaclhost/{BuildTarget}

 

 

| 주요 경로 변수

 
 
변수명
경로
UnityEngine.AddressableAssets.Addressables.BuildPath
Library/com.unity.addressables/aa/Android
UnityEngine.AddressableAssets.Addressables.RuntimePath
Library/com.unity.addressables/aa/Android
UnityEngine.AddressableAssets.Addressables.PlayerBuildDataPath
../Assets/StreamingAssets/aa
UnityEngine.AddressableAssets.Addressables.LibraryPath
Library/com.unity.addressables/
반응형

| 개요

 

기존 AssetBundle 시스템에서는 각 번들별로 지정된 Label을 기준으로 번들파일이 생성되었다.

[Addressable][BundleMode] 설정을 통해 3가지 형태의 패킹 옵션을 제공한다.

(BundleMode를 어떻게 설정 하느냐에 따라 번들의 네이밍에도 영향을 준다.)

 

번들의 네이밍에 관한 옵션은 [Bundle Naming Mode]로 설정이 가능하다.

 

| 설정

에디터 상단 메뉴 > Windows > Asset Management > Addressables > Groups

Addressables Groups 윈도우에서 그룹 선택 > Inspector 윈도우

 

혹은

 

AddressableAssetsData/AssetGroups/{어셋그룹명}.asset 파일선택 > IInspector 윈도우

 

 

| Pack Together

 

그룹 전체가 하나의 번들로 패킹되는 방식

어셋그룹명_assets_all_해쉬값.bundle와 같은 형식으로 네이밍 된다.

예)

Addressable Asset Group: dungeon

Bundle Mode: Pack Together

Bundle Naming Mode: Append Hash to Filename

 

> dungeon_assets_all_5cc5b95cb94769ba209aa37dbb298c73.bundle

 

| Pack Seperately

 

그룹 내부의 어셋마다 개별 번들이 패킹되는 방식

개별 번들이 만들어지지만, 어셋 그룹의 설정은 공유한다.

어셋그룹명_assets_assets/어셋어드레스_해쉬값.bundle와 같은 형식으로 네이밍 된다.

 

예)

Addressable Asset Group: Scenes-DungeonBG

Bundle Mode: Pack Seperately

Bundle Naming Mode: Append Hash to Filename

 

> scenes-dungeonbg_scenes_scenes/dungeonbg/폴더/어셋어드레스_해쉬값.bundle

 

| Pack Together By Label

 

라벨 기준으로 패킹되는 방식 (기존 AssetBundle의 그것과 유사)

Pack Seperatley와 마찬가지로, 번들은 분리되어 패킹되지만 어셋 그룹의 설정은 공유한다.

어셋그룹명_assets_라벨명_해쉬값.bundle와 같은 형식으로 네이밍 된다.

 

예)

Addressable Asset Group: dungeon

Bundle Mode: Pack Together By Label

Bundle Naming Mode: Append Hash to Filename

Label: label1

 

> dungeon_assets_label1_해쉬값.bundle

 

예2) 라벨을 여러개 지정한 경우

> dungeon_assets_label1label2_해쉬값.buddle

 

| 마치며

 

BundleMode옵션을 활용하여, 용도와 상황에 맞게 번들을 분리 / 통합하여 패킹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활용방법이나 케이스들을 가정해보았다.

 

Case 1) 사이즈가 큰 씬이 포함된 어셋그룹은 Pack Seperately로 지정해서 분리 패킹, 번들의 파일 사이즈를 줄인다.

Case 2) 업데이트되는 신규 컨텐츠 A 그룹은 Pack Together By Label로 지정해서 신규 컨텐츠 진입점에서 번들을 다운로드

 

신규 컨텐츠 A 어셋 그룹

ㄴSeason 1 > Label: 신규 컨텐츠 A, 시즌 1

ㄴSeason 2 > Label: 신규 컨텐츠 A, 시즌 2

반응형

+ Recent posts